라오스 촘말리 대통령까지 나서 규제 강화 지시, 한국산 자동차 설자리 잃어

▲ 최근 라오스에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중국 BYD사 소형 저가차량으로 한국 중고차량 가격이면 신차를 구입할 수 있다.

라오스에 중고차량이 전면 금지되면서 한국인 중고차를 취급하던 사업자들이 철수하거나 전직하는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10월 단행된 라오스 중고차량 세관 통관금지 조치는 올해 들어 해제될 것이라는 각종 루머가 난무했지만, 지난달 촘말리 대통령의 특별 지시로 완전히 막혀버린 형국이다.

이번 조치는 한국산 차량 수입업체는 물론 일본이나 유럽 중고차량 등을 수입하면서 웃돈을 주고 세관을 통과하는 편법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어서 쉽사리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그동안 중고차량을 수입, 세관에서 몰래 빼내던 사업자들이 직격탄을 맞았고, 중고차량 시장 자체가 꽁꽁 얼어붙어 버렸다.

특히 라오스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한국산 중고차량 수입업자들은 지난해 10월부터 세관에서 보관해오다 일괄 방출한 지난해 수입쿼터마저 이미 바닥난 상태여서 개점 휴업상태다.

설상가상으로 중국에서 생산한 저가 신차들이 자동차시장 판매구조를 흔들면서 한국산 자동차는 더욱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이렇듯 상황이 어려워지자 한국인 중고차량을 취급하던 사업자들 중에는 이미 중국산 저가 신차를 수입·판매하는 사람도 생겨나고 있다.

최근 외국에서 차량을 수입·판매하는 A사는 대금을 결제하기 위해 수입한 차량을 은행에 담보로 제공해 돈을 빌린 후, 이를 다시 할부로 고객에게 판매하는 편법까지 동원할 정도로 자동차시장이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특히 라오스 정부는 환경오염의 주범이자 오토바이와 잦은 접촉사고로 인적·물적 피해를 양산하는 자동차 증가를 줄이기 위해 발 벗고 나서 시장이 점점 위축되는 실정이다.

라오스 정부가 자동차 증가를 억제하는 또 다른 이유는 WTO가입 충족 조건과 올해 11월 5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ASEM회의도 한 몫 거들고 있다. 또 후속 조치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라오스 자동차시장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저작권자 © 컨슈머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