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의약품이나 식품의 표시 실태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한다. 먼저 글자 크기가 당장 커져야 한다. 육안으로 알아 볼 수 없는 함량표시와 주의 표시가 너무 많다. 알레르기 유발정보도 알아보기 힘들다. 상품광고 위주의 성분 표시는 소비자 오인을 유인하는 듯하다.

특히 식품이나 의약품의 경우 표시 내용을 읽지 못하면 소비자의 신체 생명의 위해와 직결된다. 일반 공산품의 경우에도 주의표시가 쉽게 보이지 않으면 안전사고로 이어진다. 가공식품의 경우 첨가물이나 유해성분 함유 정보를 어디에 표시했는지 찾기 어렵다.

수입 가공식품의 경우 제조국가에 대한 정보가 중요한 데 이를 찾기가 쉽지 않다. 수입식품표시사항을 한글로 번역하여 부착한 종이의 글자는 너무 작아 쉽게 읽을 수 없다. 박스 안에 든 낱개 제품의 경우 박스를 버리면 한글 번역 표시를 접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얼마 전 아파트 분양공고가 깨알 같은 글씨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담고 있어 공급자만 알 수 있는 부동산 암호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제조연월일이나 유통기한 표시는 소비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그럼에도 표시된 위치를 찾기 어렵고 표기방법이 제각각이어서 소비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노인 소비자의 경우에는 돋보기를 써도 쉽게 읽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소비자가 주의할 내용은 글씨를 크게 해야 하는 데 상품의 매출에 도움 되는 내용은 크게 표시하고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내용은 작게 쓰고 있다.

얼마 전 딸기 쨈을 산 소비자가 불만을 제기했다. 딸기 성분 100%라는 표시를 보고 순도 높은 딸기 쨈으로 알고 구입했으나 알고 보니 쨈에 포함된 딸기만 100%라는 것이었다. 확인해 보니 딸기와 다른 과일이 섞인 쨈인데 딸기 성분 100%라는 글씨는 굵고 크게 쓰고 다른 글씨는 작게 표시하여 소비자의 판단을 흐리게 하고 있었다.
성분비율 등 일반 정보이외에 GMO관련 정보, 방사선조사 정보, 첨가물 및 유해성분 정보,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성분 등 소비자에게 민감한 정보는 별도로 관리해서 표시해야 한다. 글자 크기도 달리하고 필요한 경우 글자색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성분비율 등 제품에 대한 일반 표시정보의 경우에도 막대그래프나 원을 사용한 입체적 표시를 통해 성분 비중을 한 눈에 알 수 있게 해야 한다. 특히 장애인이나 노인 등 취약계층이 사용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특화된 시책을 강구해야 한다.

이제는 더 이상 표시글자가 보이지 않아 읽는 것을 포기하는 소비자가 없어야 한다. 앞으로는 착오를 유인하는 표시로 인해 잘못 구입하는 사례가 없어야 한다. 제품에 대한 정보표시부터 투명해지는 것이 박근혜 정부가 추구하는 국민안전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컨슈머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