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하수구에 버려져 수질 오염시키는 폐식용유 모아 경유차량 연료인 바이오디젤유로

▲ 아파트용 수거용기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먹는 삼겹살. 하지만 삼겹살에서 나오는 동물성 기름은 종량제 봉투나 하수구에 버려져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애물단지다. 그러나 잘만 활용하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바이오에너지로 변신할 수 있다.
서울시가 동․식물성 기름 등 가정에서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수거해 경유차량의 연료인 바이오디젤유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현재 서울시내에는 연간 10만톤 정도의 폐식용유가 발생하고 있지만 전체의 71%는 종량제봉투나 하수구에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식물성기름은 전체의 65.1%가 가정에서 발생하지만, 대부분 소량으로 전체의 87.3%가 하수구나 종량제 봉투에 버려져 2차 오염원이 되고 있으며, 주로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동물성기름도 전체의 72.4%가 버려지고 있다.

서울시는 이와 같이 또 하나의 수질오염원이 되고 있는 폐식용유를 재활용하기 위해 25개 자치구에 50명의 전담반을 구성해 수거에 나선다.

식물성 기름은 주 1회 이상, 동물성 기름은 부패 방지를 위해 여름철에는 주 2회 이상 수거한다.

시는 폐식용유 수거용기도 보급해 적극적인 시민참여를 유도한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 중 민간에서 수거가 원활하지 않은 곳에 2,800개, 삼겹살집 등 소규모 음식점에는 10,500개 수거용기를 보급한다.

현재 민간에서도 아파트 등에 수거용기를 설치해 폐식용유를 수거하고 있지만, 회수 주기가 길거나 용기 관리가 미흡해 주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수거된 폐식용유는, 자치구․지역자활센터에서 수집 → SR센터(서울자원센터)로 운반 → 1차 정제업체에 공개 매각 → 바이오연료 제조업체 or 퇴비생산업체에 정제된 폐식용유 매각의 순으로 처리된다.

생산된 바이오디젤유는 대부분 정유사에 납품돼 일반 경유와 2%이상 혼합해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폐식용유를 바이오연료 제조업체와 퇴비생산업체에 팔아 남긴 수익금은 자치구 등 폐유 수거분야에 재투자 하거나 일자리 창출에 쓰여진다.

서울시는 이처럼 버려지면 오염원이 되는 폐식용유를 잘 활용해 수입원료 대체와 환경오염 예방, 폐식용유 정화를 위한 물소비 감소 등 1석 3조 효과를 기대했다.

우선, 우리나라는 폐식용유를 제외한 대부분의 바이오디젤 원료를 수입해 수입비중이 79%에 이르고, 생산원가 중 원료비중이 70% 정도로 제품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바이오 대체 생산의 의미가 크다.
또, 폐식용유 1만톤을 수거해 바이오디젤유로 사용할 경우 연간 2만톤의 CO2 저감과 연간 4억 5천 만원의 하수처리 비용이 절감된다.

대기오염 물질도 경유대비 매연 6%, 일산화탄소 14%, 아황산가스 20%. 미세먼지 23%의 저감효과가 있다.

폐식용유 1L를 정화에는 20만배의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황치영 서울시 기후변화정책관은 “동․식물성 기름 등 시민 생활속에서 나오는 오염원을 에너지로 만들어 환경도 보호하고 경제가치도 창출하겠다”며, “집안에서 쓰고 무심코 버리는 동물성․식물성 기름의 재활용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