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팔도강산 관람객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소연)은 1960년대 우리나라의 시대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문화영화를 국가기록원 누리집(www.archives.go.kr)을 통하여 제공한다.

오는 12월 6일부터 공개하는 기록물은 총 391건으로, 국립영화제작소가 생산한 문화영화와 해설 200건, 제작계획서 191건이다. 정치․사회면의 모습 등을 담고 있으며, 영화배우들이 출연하여 인기를 모은 자료도 포함되어 있어서 재미와 향수를 느끼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당시 정부는 국립영화제작소를 설치하여 정책홍보가 필요한 경우 문화영화를 적극 활용하였는데, 김희갑, 남정임 등 영화배우들이 출연하여 눈길을 끌었다. 1964년 실시된 미터법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재미있는 상황을 연출한 ‘미터법을 쓰자’, 1969년 가정의례준칙 제정에 따른 결혼예식간소화 내용을 담은 ‘오붓한 잔치’ 등이 이에 해당된다.(영상 1, 2)

‘팔도강산’과 ‘팔도강산 세계를 간다’는 1960년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을 소개하는 영상인데, 비슷한 형식의 속편 영화가 제작될 정도로 큰 흥행을 거두었다. 1960년대 문화영화 제작자들은 우리의 생활풍경이나 문화를 외국에 소개하기 위한 영화를 다수 제작하기도 하였다.

우시장에서 흥정하는 거간꾼들, 장날의 어물전․포목전 모습을 담은 ‘장날풍경’은 정겨운 일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한국불교를 다룬 ‘열반’이나, 한국적 정서를 표현한 무용극 ‘초혼’ 등의 영화는 아시아영화제에서 수상하기도 하였다. 일부 문화영화는 주요한 사건이나 행사를 다루어서 1960년대의 시대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1965년 한일회담 조인식을 앞두고 제작된 문화영화 ‘한일회담’ 제작지시서는 ‘한일 국교 정상화를 위한 국민 계몽영화를 제작’한다는 의도를 분명히 하였는데, 문화영화가 지니는 특징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1965년 준공된 ‘자유의 집’ 건축 및 준공식 영상은 분단의 현실을 우회적으로 보여준다. ‘자유의 집’은 1970~80년대 남북한 실무회담 장소로 이용되었고, 1998년 신축되었다.(영상 7)

이외에 창덕궁 인정전을 배경으로 안익태가 ‘한국교향환상곡’ 전 악장을 지휘하는 모습을 담고 있는 영상도 볼 수 있다. 이소연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장은 “이번에 제공하는 문화영화를 통하여, 1960년대 시대・생활상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영화 발달 과정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