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신라·신세계 등 빅3를 제외한 중소 면세점들이 잇달아 사업을 접는 분위기다.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면세점 실적이 크게 나빠진 데다 빅3 틈바구니에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분석 탓이다. 특히 ‘최순실 국정농단’의 여파가 큰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5년 11월 서울시내 면세점 업자가 교체됐다. SK네트웍스가 떨어지고 이를 신세계DF가 승계했고 호텔롯데월드점 면세특허는 두산이 이어받았다.

 

시중에는 서울시내 면세점 특허를 정부가 추가로 선정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지만 특허심사를 담당하는 관세청은 "서울시내 추가 특허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해명자료를 공식적으로 내놨다.

 

그러나 관세청은 넉달만에 입장을 바꿔 2016년 4월 서울시내에 대형 면세점을 3곳 추가한다고 밝혔다. '한류 확산에 따른 외국인 특수에 대비하고 고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2016년 하반기 들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벌어지면서 면세점 추가 선정은 면세점 특허에서 탈락했던 롯데와 SK를 살리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잇따랐다.

 

이미 서울 시내 면세점이 급증한데다 외국인 관광객도 사드 사태와 메르스 여파 등으로 생각만큼 크게 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기존 면세점업계가 추가 선정에 반발했지만 정부는 강행했고 결국 '촛불집회'가 정점에 달했던 2016년 12월 호텔롯데와 신세계DF, 현대백화점이 서울시내 신규 면세점 사업자로 추가 선정됐다. 이로 인해 2015년 이후 3년만에 서울 시내 면세점이 6개에서 13개로 2배 이상 늘어났다.

 

면세점 추가 선정 의혹은 '국정농단' 재판에서 일부 사실로 드러났다. 하지만 면세점 문제는 국정농단 게이트를 넘어 면세점업계에 지속적인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의 감소에도 무분별한 면세점 확대는 결국 면세점업계의 사업철수로 이어졌다.

 

지난달 한화가 여의도 한화갤러리아63 면세점 문을 닫았다. 한화는 면세점 사업으로 1천억원이 넘는 손실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두산 역시 29일 동대문 두타 면세점 철수를 전격 발표했다. 지난 2015년 7월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된 뒤 지금까지 600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산은 이날 "중장기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다"며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면세사업을 중단한다"고 설명했다.

 

한화,두산 모두 2015년에 면세점 특허를 따냈지만 '승자의 저주'를 극복하지 못하고 면세점 사업에서 철수한 것이다.

 

이는 면세점 사업의 중장기적 전망을 잘못 예측한 정부의 정책 실패로도 해석될 수 있다.

 

서울시내 면세점 사업에서 대기업들이 줄줄이 철수함에 따라 중소중견 면세점 업체들에게도 불똥이 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SM면세점은 지난 2017년 275억원, 지난해 138억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동화면세점 역시 매년 100억원 이상의 손실을 보고 있다.

 

롯데·신라·신세계 등 빅3의 틈바구니에서 중소 사업자가 자리 잡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컨슈머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