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민간소비가 6.0%나 감소해 내수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긴급재난지원금을 뿌렸지만, 그 효과는 두 달만에 종료된 것이다.

특히 8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소비가 더 얼어붙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2020년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반면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6.0% 감소하며 올해 3월 0.9% 감소 이후 4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미 5~6월에 긴급재난지원금이 90%가량 소진되고,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도 6월부터 축소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통계청은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축소, 상반기 판매 증가의 기저가 영향을 미쳤다"면서 "이와 함께 긴 장마 등 날씨, 전월 판매 증가의 기저 등으로 하절기 의류 판매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소비 감소세는 코로나19 사태로 내수 경기가 얼어붙었던 2월(-6.0%) 이후 가장 급격한 것이다.

작년 6월의 전년동기 대비 소비 증가율을 비교해도 증가폭이 6.3%에서 10분의 1 수준으로 크게 위축됐다.

더 큰 문제는 8월 이후다. 이미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내수가 폭격을 맞은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로 격상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가 현실이 되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3% 이하로 낮아질 것"이라며 "현재 수출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소비가 큰 타격을 받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지난달 전 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0.1%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광공업생산이 1.6%, 서비스업생산도 0.3% 늘면서 증가세가 이어졌다.

광공업생산은 수출 증가로 인해 자동차 생산이 14.4% 증가했으며, 서비스업도 금융·보험생산이 전월보다 2.2% 증가하며 전체 생산 증가에 기여했다.

이러한 광공업과 서비스업의 기여에도 전 산업 생산이 비교적 부진한 증가세를 보인 것은 공공행정의 둔화 탓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통계심의관은 "7월 공공행정 생산이 전월비 8.4% 감소했는데, 이는 지난 3~4월 코로나19로 미룬 공공행정 업무가 6월에 집중적으로 지출되면서 9.2% 증가했던 것의 기저효과가 나타난 것이다"라고 말했다.

설비투자는 전월대비 2.2% 감소해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안 심의관은 "운송장비에서 자동차 개소세 인하 축소에 따라 설비투자가 감소한 것"이라면서 "반면 기계류는 산업용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에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건설업체 시공 실적인 건설기성은 같은 기간 1.5% 증가했다.

 

저작권자 © 컨슈머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