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을 챙기는 정책방향은 크게 세 갈래가 있다.
노동자를 위한 정책, 소상인을 위한 정책, 소비자를 위한 정책이 있다. 세 가지 정책 가운데 소비자 권익까지 챙기면 선진국이라 할 수 있다.
소비자는 뭉쳐있지 못한 가장 취약한 계층이기 때문이다.
노동자와 소상인은 조직력 측면에서 소비자보다 덜 취약하다. 노동자는 자신의 권익을 챙겨주는 정당마저 보유하게 됐다.
소상인 역시 자신의 권익을 챙겨주는 전속 정당은 없지만 기존 정당을 통해 어느 정도 자신의 권익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경제민주화 논의도 소상인에 대한 배려가 많이 담겨있음은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런데 아직 소비자는 자신의 권익을 챙겨주는 정당을 만들지 못했다. 소비자 이슈가 터지면 그 때 마다 각 정당은 소비자문제에 관심이 있는 척 덕담한마디 해 주는 것이 고작이다.
기존 정당은 탄생 동력이 소비자권익이 아니기 때문에 소비자권익을 챙겨 줄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모든 조직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상당기간 정책 내공을 쌓아야 그 분야 전문성과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
정책 역량이라는 것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즉, 기존 정당의 경우 소비자권익을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해 온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비자권익을 위한 정책역량과 철학이 다듬어지기 어려웠다.
지난 총선에서 소비자권익을 대변할 비례대표 한 사람 배출하지 못한 것도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기존 정당들도 소비자권익에 대한 정책 내공을 쌓아 나가야 한다.
기존 정당이 소비자권익을 지켜준다면 굳이 소비자권익을 챙겨줄 정당이 따로 생길 이유가 없다.
그러나 이를 지켜 주지 못하면 소비자는 소비자권익을 챙기는 신당 출현을 갈망할 수밖에 없다.
이제부터라도 각 정당은 소비자가 행복한 정책을 만드는 선진 정당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컨슈머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